Colab setup
Colab은 설치가 필요 없고, jupyter notebook과 98% 호완,
12GB memory, 100GB disk sapce, GPU(Nvidia K80s, T4s, P4s and P100s), TPU 등의 하드웨어 제공,
공동작업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Keras, Tensorflow, PyTorch 등의 설치와 이용 역시 어렵지 않다.
Colab은 Google Drive와 GitHub gist, GitHub repository와 연동이 되어 있어
Google Drive의 Colab Notebooks folder에서 작업 파일을 생성하거나 저장하는 것은 별다른 설정이 필요 없다.
다만 자료 파일을 읽거나 결과물을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때 Colab VM의 drive에서 파일을 넣고 빼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Google Drive를 VM에 mount 시켜놓고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경우가 있다.
1. Google Drive
Google Drive로 이동해서 왼쪽 위 File menu의 New notebook을 클릭해서 notebook folder를 만든다.
Colab site(https://colab.research.google.com/)로 가면 아래와 비슷한 화면이 나타난다.
새로운 노트북을 열고 pwd 를 입력하고 왼쪽 삼각형을 클릭하면 현재 작업을 하고 있는 directory를 보여준다.
'/content'는 Google Colab VM에서 사용하는 임시저장소다.
작업 파일을 내려받고 저장하려면 file option을 이용하면 되지만, 번거로우므로 Google drive를 mount 해서 사용하면 편리하다.
Internet이 연결되는 환경이라면 usb drive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다.
아래 코드를 실행하고 (drive는 Colab의 default로 다른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link를 타고 들어가서 사용할 계정을 선택하면 authorization code를 받을 수 있다. 복사해서 입력하면 Google drive는 '/content/gdrive'로 mount 된다.
ls로 내용물을 확인해보면 'drive/'와 'sample_data/' 두 개의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
Google drive로 이동해서 작업을 하면 된다.
새로운 작업을 저장할 때는 File option의 'Save a copy in Drive'을 사용한다.
Mount에 필요한 code가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왼쪽 pane의 files icon을 이용한다. Files로 들어가 오른쪽 위에 보이는 Google Drive icon을 클릭하면 mount에 필요한 code를 자동으로 완성해서 실행을 기다린다. 그냥 실행시키고 working directory를 바꾸면 된다.
2. GitHub repository
GitHub에서 Git URL을 복사해서 사용한다. Public repo는 password가 필요 없다.
Mount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d "/content/machine-learning"로 이동해서 작업한다.
3. Upload & Download manually
수업 용도라면 필요할 때 파일을 upload 하여 사용하고 또 내려받는 방법이 있다.
위 두 줄만 외우면 된다.
내려받기도 비슷하다.
내려받기는 왼쪽 pane의 files icon에서 mouse 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하다.